
1. 폐가 문학의 전통, '공간의 기억'을 소환하다한국 문학에서 폐가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상실, 기억, 가족, 혹은 트라우마를 드러내는 정서적 매개체로 자주 등장한다. 폐허가 된 집이나 버려진 공간은 시간의 흐름을 몸으로 견뎌낸 존재로, 등장인물들의 심리적 상태와 감정 곡선을 투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의 한국 문학에서 폐가는 전쟁, 산업화, 도시화와 같은 사회적 격변을 상징적으로 담아낸 공간이다. 이러한 폐가는 '버려진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인간의 실존적 고독과 기억의 심층을 들춰내는 장치로 기능한다. 2. 황석영 『객지』 – 노동자의 고단함과 폐가의 침묵황석영의 『객지』에서는 도시 빈민 노동자의 삶이 버려진 폐가 속에서 그려진다. 주인공들은 임시거처로 폐허가 된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