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닫힌 문과 폐가의 정서적 상징성도시 외곽, 빛이 닿지 않는 좁은 골목 끝에 있는 오래된 집. 그곳은 문이 굳게 닫혀 있었고, 창문은 먼지로 가득했으며, 마당에는 잡초가 무성했다. 외부로부터 차단된 이 공간은 마치 세상에서 잊힌 장소처럼 느껴졌다. 폐가의 닫힌 문은 단순한 입구가 아닌, 과거와 현재를 가로막는 상징적인 경계선이다. 사람의 흔적은 사라졌지만 그곳에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었다. 열리지 않는 문은 그 안에 감춰진 이야기와 기억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었다. 도시 탐험가들에게 이런 폐가는 육체가 아닌 정서로 들어가는 문이 된다. 닫힌 문은 기억을 봉인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불러내는 장치가 된다. 2. 기억의 단서가 된 오래된 물건들문을 억지로 열고 들어간 그 집 안에는 먼지 낀 찬장, ..